![]() |
|||||||||||||||||||||||||||||||||||||||||
~~ 여름 설산 천산 산맥과 세계 2위의 산악 호수 이식쿨 호수 자연 탐방 ~~~ 신비하고 웅장한 관광지와 생활속에서 함께 하는 실크로드 문화 현장 탐방 넓은 뜻으로는 동·서 투르키스탄 외에 카자흐 초원· 준가얼 분지· 티베트· 몽골· 아프가니스탄 북부· 이란 동부· 남 러시아 초원을 포함한 내륙 아시아를 말한다. 반면 좁은 뜻으로는 동· 서 투르키스탄의 오아시스 정주지대만을 가리킨다. 옛 소련에서는 중앙 아시아를 2가지로 표현하였다. 스레드냐야 아지야(Srednyaya Aziya : Middle Asia 라는 뜻)는 서 투르키스탄의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4개국을 지칭하는데, 일반적으로 스레드냐야 아지야 이 카자흐스탄 (Srednyaya Aziya I Kaza-khstan : 중앙 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이라는 뜻)이라하여 옛 소련령 내의 중앙 아시아 전역을 가리켰다. 그리고 첸트랄리나야 아지야(Tsentral'naya Aziya;Central Asia라는 뜻)는 옛 소련령 외의 중앙 아시아, 즉 동 투르키스탄· 준가얼 분지· 티베트· 몽골을 가리켰다. 즉, 옛 소련에서는 넓은 뜻의 중앙 아시아(내륙 아시아)의 호칭을 옛 소련 영내와 영외로 구별하여 각각의 이름으로 불렀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동· 서 투르키스탄과 그 북쪽으로 이어진 카자흐스탄 및 준가얼 분지 일대를 포함하여 중앙 아시아라 한다.
|
|
|
![]() |
※ 한 상품에 일정표가 여러개일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일정표를 보시면 더욱 즐거운 여행이 됩니다. |
![]() |
[일정표 프린트] | ||
|
||||||||||||||||||||||||
|
||||||||||||||||||||||||
|
||||||||||||||||||||||||
|
||||||||||||||||||||||||
|
||||||||||||||||||||||||
|
||||||||||||||||||||||||
|
||||||||||||||||||||||||
|
||||||||||||||||||||||||
|
||||||||||||||||||||||||
※ 상기 일정은 항공(선박) 및 현지사정으로 인해 다소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 ||||||||||||||||||||||||
|
![]() |
||||||||||||||||||||||||||||||||||||||||||||||||||||||||||||||||||||||||||
>>>>>> 실크로드 ?
★ 여행시 준비사항 ★ 1. 의류나 복장 * 한국과 마찬가지로 사 계절이 있으되 항시 3~5도 정도 높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여름철 급작스러운 기후 변화를 예상하여 긴팔 의류 한 벌 정도는 준비 하는게 좋으며 겨울에는 두터운 파카 등이 필요하다. * 신발은 간편한 랜드로바나 편한 운동화 정도가 좋다. 여름에는 샌달을 준비하는 것도 좋으며, 굳이 양말을 신지 않아도 된다. 겨울에는 빙판 또는 눈 길을 대비해 준비해야 한다. 2. 기타 물품 * 세면 도구(치약, 칫솔, 비누, 샴프, 빗, 수건 등), 자외선 차단 크림, 선글라스 & 모자(일조량이 강한 지역에서는 겨울에도 꼭 필요하다), 보습제, 립 크림, 면도기, 필름, 드라이기, 건전지, 우산 또는 양산, 물 티슈 등 3. 비상 약품 * 여행 중 발생되는 질병에 대비하여 두통약, 해열제, 지사제, 밴드, 종합 감기 약, 연고 등. 여름에는 모기 향 또는 모기 약(스프레이)등이 필수. 4. 가방 * 어떠한 종류이든 관계는 없으나 반드시 잠금 장치가 필요하며 여권, 휴지, 카메라, 물통 등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휴대용 가방이 별도로 필요하다. 5. 여행시 주의점 (1) 야간 외출 시 과다한 음주 자제 (2) 단독 야간 외출 자제 (3) 개별 외출 시 현찰 지참은 가급적 피하고 약간의 금액만 소지하며 지나친 노출 의상이나 화려한 옷차림 자제 ★ 카자흐스탄 ★ * 정식 국명 : 카자흐스탄 공화국 (Republic of Kazakhstan) * 수 도 : 아스타나 Astana * 종 교 : 국교는 없으며, 수니 무슬림(Hanafiyah) * 언 어 : 카자흐 어, 러시아 어 * 인 구 : 1천 6백 8십만명 ( 카자흐 인 40%, 러시아 인 38%, 독일 인 6%, 우크라이나 인 5% ) * 통 화 : US$ 1 = 61.37 T(Tenge 텡게) 화폐는 동전과 지폐 모두 있으나 지폐만 사용 한다. * 시 차 : 한국보다 3시간 느리다. * 전 기 : 220V, 50 Hz * 환 전 : 호텔 또는 사설 환전소에서 편리하게 환전할 수 있다 * 전 화 : - 한국에서 카자흐스탄으로 서비스 번호(001 등등) + 7 (국가 번호) + 지역 번호(알마티 3272) + 전화 번호 - 카자흐스탄에서 한국으로 8(신호음)+10(국제 전화 코드)+82(한국 국가 코드)+지역 번호(서울 2)+전화 번호 * 기 후 : 여름에는 사막 지역의 최고 기온이 섭씨 40도까지 올라가지만 밤에는 그 절반 정도의 기온으로 떨어진다. 눈은 11월경에 오기 시작하여 산 길은 4월, 때로 5월까지 눈으로 덮여 있다. 겨울은 사막에서도 혹독하게 춥다. 연간 강수량이 사막 지역에서는 100mm 미만으로 내리고 산악 지역에서는 1,500mm 정도로 내린다. 여름에 스텝 지역에 내리는 대부분의 비는 가끔 이 지역에서 갑작스런 홍수를 일으키면서 엄청난 폭우로 쏟아진다.
* 정치ㆍ경제 : 경제·정치·군사 면에서는 현실에 입각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외교 면에서는 현실 외교를 일관해서 추진, 러시아를 중심으로 CIS 국가들과 경제. 정치. 군사 면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95년의 지도부는 CIS 강화의 열렬한 추진자로 인정받고 있다. 아케이브로 1995년에 임기 5년의 대통령직에 재선되었다. 수상은 1998년에 쥬마리에프가 선출 되었다. 의회는 양원제이며 국민 대표 의회와 하원으로 구성된다. 국민 대표 의회는 70명, 하원은 35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임기는 5년이다. 키르키즈스탄은 농업이 발달되었는데, 1997년 기준 GDP의 43%를 농업이 차지하고 있다. 주요 생산 품목은 육류, 모, 가죽, 면, 견, 담배 등이다. * 카자흐스탄의 역사 : 카자흐 인은 15세기 중엽 우즈베크 족과 분리되어 키르기즈 초원에서 유목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형성되었다. 17세기 들어 카자흐 인은 유목 대신 농경 생활을 시작하여 그 뒤 일부는 러시아, 다른 일부는 중국에 종속되었다. 러시아의 남진 정책으로 카자흐 인의 영토가 점점 러시아에 복속되어 19세기 중엽, 변경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직접 충돌하기도 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때인 1916년 말, 후방 지역 노동 부대로 여러 민족을 징집하는 칙령에 반발하여 일어난 중앙 아시아 대 반란에 카자흐 인도 가담해 러시아의 제정 지배를 흔들었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한 후, 임시 정부인 투르키스탄 위원회와 함께 베르누이(지금의 알마아타)·세미팔라틴스크 등에 소비에트가 생겨났으나 카자흐 민족주의자는 <알라시당>을 결성하여 맞섰다. 바이(지주)·이슬람 수도승·부르주아 민족주의자는 12월에 오렌부르크에서 자치를 선언하고 <알라시 오르다>정부를 설립하였으며, 우랄과 세미레체카자흐의 <군사 정부>도 창설하였다. 한편, 철도 노동자와 병사는 1917년 11월~18년 1월에 아크몰린스크(지금의 아크몰라)에서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였다. 투르가이·세미팔라틴스크·세미레체·우랄리스크에서도 소비에트 정부가 수립되어, 내전을 거쳐 1920년 10월 오렌부르크를 수도로 키르기즈 자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24년 중앙 아시아 민족의 경계에 따라 카자흐 인이 사는 영역이 합쳐지고, 1925년 수도가 중앙부의 크질오르다로 옮겨져 카자흐 자치 공화국이라 개칭되었다. 1929년 수도가 알마아타로 옮겨졌으며, 현재의 카자흐스탄이 성립된 것은 1936년이다. * 지 리 : 면적 2,717,300㎢ (세계 9위 면적. 구 소련 영토의 12%, CIS 내에서 두 번째로 크다. 한반도 11.6 배, 남한의 약 27 배) 2백7십만 평방km(1백 만 5천 킬로마일)면적의 카자흐스탄은 대략 서 유럽이나 미국 본토의 반 절정도의 크기다. 북쪽으로 러시아, 서쪽으로 카스피 해, 남쪽으로 우즈베키스탄과 키르키즈스탄, 동쪽으로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남 동부 지역의 산악 지대와 장엄한 티엔샨(천산)지역의 북쪽 지역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동부의 산악 지대를 제외하고는 주로 건조한 평지로 되어 있다. ★ 키르키즈스탄 ★ * 정식 국명 : 키르기즈스탄 공화국 (Republic of Kyrgyzstan) * 수 도 : 비쉬켁 Bishkek * 종 교 : 수니 이슬람 * 언 어 : 키르기스 어, 러시아 어 * 인 구 : 인구 67만명 ( 키르기스 인 57%, 슬라브 인(러시아 인 및 우크라이나 인) 21%, 우즈벡 인 13% ) * 통 화 : US$ 1 = 50 섬(S) 통화의 단위는 섬이다. 섬은 시내 곳곳의 환전소에서 바꾸면 된다. 뜨윈은 보조 화폐로 우리나라의 1원 짜리처럼 거의 통용되지 않는다. * 시 차 : 한국보다 5시간 느리다. * 전 기 : 220V, 50Hz * 환 전 : 현금만이 통용되고 있으며, 신용 카드는 받아 들여지지 않는다. 고급 호텔이나 은행에서 여행자 수표를 취급하기도 하지만 수수료가 매우 높다. 대부분의 호텔과 번화가에는 환전소가 있으며, 대부분의 장소에서는 빳빳한 신권만 받는다. * 전 화 : - 한국에서 키르기즈스탄으로 서비스 번호(001 등등)+996(키르기즈스탄 국가 번호)+ 지역 번호(비쉬켁 996) + 전화 번호 - 키르기즈스탄에서에서 한국으로 8(신호음) + 10(국제 전화 코드) + 82(한국 국가 코드) + 지역 번호(서울 2)+ 전화 번호 * 기 후 : 6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연 평균 최고 섭씨 40도(화씨104도)의 기온으로 오후에는 대부분 섭씨 32도나 그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간다. 겨울에는 약 40일 동안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 가장 추운 달은 시베리아에서 강풍이 불어오는 1월이다. 낮은 고도 지방은 일기가 잘 맞는 봄과 가을에 특히 3월~6월 초까지와 9월~10월까지가 여행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봄에는 작은 꽃들이 피고 가을은 추수의 계절로 시장에는 신선한 제품으로 가득하다. 낮은 고도 지역의 여름은 엄청나게 덥지만 7,8월에는 산악 지방을 방문하기에 가장 좋다. 11월에 차가운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곧 눈으로 변해 산길은 폐쇄된다.
* 정치ㆍ경제 : 2000년 총선 결과 공산당이 승리하였고 10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아카예프 대통령이 승리해 3선에 성공하였다. 러시아 금융 위기 여파로 솜화가 폭락하자 1999년 솜화 거래를 중지하였고 외채가 국내 총 생산 규모를 넘어서자 채무 불 이행 선언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2003년 아카예프 대통령의 임기 보장과 대통령 권한 강화를 골자로 하는 개헌 국민 투표를 실시하여 80%의 찬성율로 개헌이 승인되었다. 이로써 대통령의 권한이 더욱 강화되었다. * 키르키즈스탄의 역사 : 키르기스스탄에는 BC 7~BC 6세기에 계급 사회가 생겨났다. 6~12세기에는 카라한 왕조 등 터키계 국가가, 13세기에는 몽골이 지배하였으며 15세기 말에 키르기스민족체가 성립되었다. 페르가나 지방은 19세기 전반 코칸트 한국(汗國)에 정복되었다. 1860~1870년대 러시아의 중앙 아시아 진출과 함께 전역이 러시아에 포함되었으며 러시아 농민 이주지가 되었다. 1917년 10월 혁명 뒤 11월부터 1918년 중반까지 스뤼크타·키질키아를 비롯해 소비에트정권이 전지역에서 승리하였으며, 키르기스스탄은 5월에 성립된 투르키스탄 자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바이(지주)나 이슬람 승려 등은 1918년 봄부터 바스마치 운동이라 불리는 반소 폭동을 조직하였으나 1920년 11월 무렵 거의 진압되었다. 1921~1922년 반 식민주의적 토지·수리 개혁이 이루어져, 6000명의 농민에게 19만 9000 데샤티나(1데샤티나=1092㏊)의 토지가 배당되었다. 1924년 중앙 아시아의 민족적 경계 구분에 따라 키르기즈스탄은 투르키스탄에서 분리하여 러시아 공화국의 키르키즈스탄 자치주가 되었고 1926년 자치 공화국으로 승격하였으며 1936년 공화국으로 소련에 가입하였고 1991년 독립하였다. * 지 리 : 육지로 둘러싸인 키르키즈스탄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를 합한 크기보다 약간 더 크다. 북쪽으로는 카자흐스탄, 동쪽으로 중국, 남쪽으로 타지키스탄, 서쪽으로 우즈베키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국토의 약 95%가 산악 지대이며 거의 절반의 산악 지대가 3,000m 이상의 고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중 3/4가 만년설과 빙하로 되어 있다. 특히 유명한 곳이 남 동부의 티엔샨(천산)지역이다. 드라마틱한 카크샬-투(Kakshaal-Too)지역인 티엔샨의 정상은 키르기즈스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피크 포베디(Pik Pobedy) (7439미터/24,400피트)에서 최고봉을 이루며 중국과 멋진 천연 국경을 형성하고 있다. 타지키스탄과의 남부 국경은 파미르 고원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약 700 미터(2300 피트)깊이의 이식-쿨 호수(Lake Issyk-Kul)는 동부 키르기즈탄의 천산 자락에 거대한 깔대기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